시멘트(2)
-
아세아시멘트 - 시멘트 대란 해소?
'시멘트는 끝났다' 라는 말이 들리기 시작한다 ㅋㅋ 난 또 기회로 보이는데.. 짧은 경력이지만 확실히 느낀다. 사실 종목은 크게 문제가 아님 그 종목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스스로의 벨류에이션을 기반으로, 어떤 시계열을 가지고, 어떤 전략을 가지고, 얼마의 비중을 가지고.. 등등 에 따라 수익률이 천자만별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인이 이해되는 산업/기업을 하라는거다 '종목'만이 중요한게 아니란 말이다. -------------------- 아래 기사내용을 정리 - 현재 국내 시멘트 재고량 75만톤 (성수기 적정 시멘트 재고량 125만톤) - 지난 3월 시멘트 대란 일 때 보다는 10만톤 정도 늘었음 - 정부와 시멘트 업계에서 1) 수출물량 내수 전환 2) 시멘트 생산설비 킬른(소성로) 10기 추가 가동 을 ..
2022.05.22 -
시멘트 인뎁스 리포트 (신영증권 박세라 애널님)
시멘트 집중 분석 출처 : 신영증권 박세라 애널님 (220328) * (의견) 1. - 22년 국내 시멘트 출하량 yoy 3.0% 성장 - 가격 인상 보수적으로 88,000원 결정될 시 매출 평균 15% 증가 - 유연탄 톤당 10달러 변동 시 비용 100억원 증가 → 출하량 상승 & 가격 인상 = Valuation Re-raitng 2. - 22년 건설수주 2.0% 상승 전망 - 22년 시멘트 출하량 3.0% 증가한 5,100만톤 전망 - 건설수주 & 건설기성 디커플링 심화 (56조원 차이로 역대 최고수치) → 코로나 및 건자재 가격 급등으로 공사 기성률 둔화되었지만 곧 올라올 것으로 예상 (숏티지) * 건설기성이란? 건설업체의 국내공사 현장별 시공 실적을 금액으로 조사하여 집계한 통계로서 조사대상 기간..
2022.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