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4. 17. 15:44ㆍ기업공부/아이원스
아이원스 잘 정리해주신 내용들 정리
1. LePain 님 포스팅
(아이원스) 아이원스 22년, 23년 EPS가 더 중요하다.
아이원스가 환기종목 지정이 되면서 모든 리스크는 까발려 졌다고 생각한다. 환기종목이 된 것은 아쉽지만 ...
blog.naver.com
(아이원스) 아이원스 주담IR통화 + 새롭게 알게 된 사실들...?
오늘 짬을 내어 아이원스 주식담당자 분과 통화를 하였고, 소문대로 굉장히 친절하게 답변해주셨습니다. 항...
blog.naver.com
2. 화이트아웃 님 포스팅
아이원스-아이원스에 대한 기본 이해
*반도체 비 전공자인 제가 아이원스에 대한 정확한 글을 쓸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아이원스에 대해 좋은...
blog.naver.com
아이원스-아이원스에 대한 이해 및 전망(스터디 발표&방송용)
아이원스 횡령 횡령 내용 1.병기(쉽쉐키)전 대표이사의 회사(지분 100%)에 일감 몰아주기 2.법인 비용 사적...
blog.naver.com
아이원스IR
1.아이코닉 관련해서 현재 진행 상황이 어떤지? 1차 퀄테스트는 반응이 좋다고 알려져 있는데? 저희 쪽에서...
blog.naver.com
3. 잠실개미JAKE 님 포스팅
(아이원스) 2021년 사업보고서 리뷰
#아이원스 #반도체 #소모부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아이원스의 2021년 사업보고서가 공시 되었습니다. 이...
blog.naver.com
2022년&2023년 실적 추정 (2) 아이원스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본 포스팅에 언급된 종목의 실적 추정은 100% 주관적인 의견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추...
blog.naver.com
4. 센텀호랑이님 포스팅 (22.4.15)
아이원스 신규시설투자 공시(Feat. 세정코팅)
#아이원스 #신규시설투자 #세정코팅 #매출액늘려보자 #보수적인IR #ASML #AMAT #PSK #SEM...
blog.naver.com
5. 차니파파님 포스팅
[아이원스] 주담 통화
※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 종목 보유자로 편향된 시각이 있을 수 있으니 고려해주시기 바랍니다. ...
blog.naver.com
-----------------------------
출처 : 위 블로거분들 포스팅
1. 아이원스 피어그룹은 아래와 같고, 사업구조가 비슷한 기업은 원익 QNC
- SiC링 하는 티씨케이, 하나머티는 고벨류 인정 (PER 17~18배)
- 에프터마켓 강자 월덱스 (PER 12.1배)
- 비포마켓 저평가 대명사 원익QnC (PER 11.2배)
- 고마진 사업 코미코 (PER 11.8배)
- 아이원스 (PER 10.1배)
→ 아이원스의 시장 벨류 PER 10~12는 적정하다고 판단 (이게 맞다고 생각함)
2. 아이원스는 향후 쿼츠 신대체 물질인 '아이코닉' 이 아니면 리레이팅되기는 (보수적으로) 어려워보이고, fEPS 상승 쪽 가능성이 지금으로썬 더 현실적이다. (그러나 미세화/고단화 고정으로 인해 반도체 싸이클이 다시 도는 시점에서는 충분히 주목 받을 수 있을 것)
3. 아이원스 22년/23년 매출액, 영업이익 예측
- 아이코닉 고객사 테스트 합격 인한 리레이팅 미고려하더라도, 40% 이상 EPS 상승 예상
가정1) 세정/코팅 증설. 현 캐파의 80%정도 예상 (센텀호랑이님 IR통화 참고)
가정2) 정밀사업부 년도별 가동률 & 수율
21년 가동률 55%, 수율 70%
22년 가동률 60%, 수율 70%
23년 가동률 70%, 수율 70%
가정3) 신규 공장 보수적으로 23년 가동, 공장 튜닝 및 안정화 작업에 따라 캐파의 80%로 가정
가정4) 판관비 12%, 21년 세정부문 OPM 23.4% 으로 세정부문 매출액총익률 역산시 35% 정도. 따라서 80% Capa 확장에 따라 매출총이익률 35%로 가정한다면 영업레버리지 효과에 의한 OPM 25~26까지 개선될 것으로 가정
(음.. 근데 내가 두드린 숫자랑 뭐가 잘 안맞다잉.. 일단 SKIP)
그래서 위 영익을 기준으로 벨류에이션을 해보면
foward PER(22) : 7.22배
foward PER(23) : 5.45배
→ PER 리레이팅 + 반도체 상승싸이클 + 미세화&고단화 + 저벨류 고려했을 때
23년 이후 까지도 홀딩이다.. 이말입니다..
4. 환기종목 지정에 대한 불이익 요소
1) 신용매매 금지
2) 담보대출 금지
3) 공매도 금지
4) 기관/외국인 투자자 수급 없을 우려 (내부규정 등등) = 수급이슈
→ 위 내용은 수급상의 이슈. 핵심은 기업의 본질. 이거엔 영향이 없다는 것. '기업 본질의 가치와 성장성'
5. 아이원스가 한솔테크닉스로 갔음으로 인해 재무부담이 올라감. 그럼에도 서로 윈윈
한솔테크닉스는 아이원스라는 새로운 엔진. 아이원스는 문제있던 오너 교체
6. 아이원스의 사업부는 크게 2가지. 초정밀 가공(OPM 22%) / 초정밀 세정&코팅 (OPM 23.5%)
7. 정밀가공 = 부품(파츠) 비중은 반도체가 제일큼
8. 주요고객사는 세계 반도체 1위 장비회사 AMAT, 삼성전자의 반도체 장비회사인 SEMES, 피에스케이 등에 납품
→ 반도체에 직납 또는 장비회사에 납품. 이에 따라 에프터 마켓 / 비포 마켓으로 나눔
→ 비포 마켓 : 부품 → 장비 → 반도체업체
→ 에프터 마켓 : 부품 → 반도체 업체
→ 아이원스는 '비포마켓'에 해당
9. 주요 고객사인 AMAT의 식각 장비용 Chamber, Shower head 를 주력으로 생산함
→ 식각 = Etching 공정 (식각은 건식/습식으로 각각 나뉨)
→ 최근 미세화 공정이 많아지면서 건식 사용률이 높다. (정확도 높고, 컨트롤 쉽지만 고비용)
→ AMAT는 건식 식각 공정 담당하는 장비 주요 제작. 거기에 관련 부품이 필요 (건식 에칭 시장 점유율 18%) '미세화'
9-1. 건식식각 장비들은 고온/고압 공정이 많아서 챔버내부 부품들 마모가 가팔라짐. 이에 따라 교체주기가 짧음 (그래서 이런 세정 및 코팅이 추가로 필요한 것.. 참 좋은 BM 이다)
10. 그리고 세정&코팅 부문. 코미코와 원익QnC 사업과 유사함
→ 각종 오염물질을 씻어주는 역할 (세정)
→ 각종 오염물질을 덜 묻게 조치 (코팅)
11. 재무 부분
→ 현금성자산 : 92억(20년) → 165억(21년) (+70억)
→ 여기에 한솔케미컬 3자 배정 유상증자로 409억 추가
→ 현금성자산이 573억 정도 (Q. 근데 이건 아직 재무제표에 반영안된거지? 주담 확인필요)
→ 차입금 부분. 장단기구분은 회사 맘이다. 주석 확인 필요
→ 내역은 아래와 같다
→ 현금흐름보면 FCF 개선되고 있고, 차입금은 줄여나가는 중
→ 유상증자 통한 현금 확보
→ (Q. 현금 증가의부분에 유상증자 내용이 포함되어있는것인가? 이건 왜 현금및현금성 자산과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
11-1 한솔테크닉스 3자 유상증자 확보 현금으로 삼성전자향 세정, 코팅 사업 CAPA확대 예정
→ 현재 CAPA 에 조금 못미치는 정도 (Q. 이건 80%라는 말도 있고 2배라는 얘기도 있고 확인이 필요)
→ 토지 매입은 완료된 상태
12. 버틀러로 다시 해석해보자
① 영업호조로 인해 현금흐름은 좋아지는 모습
② 영업이익/순이익의 강한 상승세를 보여준다
③ 영업해서 번 돈만큼 투자를 진행함. 이에 따른 FCF(잉여현금흐름)은 약간 꺾이지만 좋은 현상이다
④ 여기서 재밌는걸 볼 수 있는데 CAPEX 에 따른 영업 증가세다. ②번을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최근 증설공시 (200억) 기대치 만큼의 수준은 아니었지만 조만간 또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이러한 과거 데이터를 봤을 때 증설에 따른 이익을 뽑아낼 수 있는 아이원스의 실력을 옅볼 수 있지않나라는 생각이 든다
13. 김병기 횡령내용을 간단히 요약해보면
→ 1. 김병기 대표이사 회사 (지분100%)에 일감 몰아줌 2. 법인 비용 사적 사용 (이게 54억 규모, 총자본금의 4.46%)
→ 횡령공시는 21.7.1 근데 장내매도는 4~5월에 진행했기에 차익 34억 정도 챙김
14. 그리고 12월 3일 한솔테크닉스 1213억원에 매각 (이문기 대표 24.57% 지분을 1주당 13,808원으로 매입)
→ 3자 배정 유상증자로 409억원 추가 확보 (9.89%)
(220억은 세정-코팅 가공사업확대 및 신소재 개발, 189억은 원부자재 매입)
→ 24.57% + 9.98% = 34,47% 지분 확부 이후 22.01.25 시간외 블록딜로 16만주 추가 매입
→ 이렇게 한솔테크닉스의 아이원스 총 지분은 35.03%
15. 정밀 가공 부문을 보면 21년도 들어서 영업이익률이 가팔라지는걸 볼 수 있는데 이는 가동률 및 수율의 개선으로 보임 (아까 언급했던 CAPEX 와 연관성으로 보긴 힘들겠군)
→ 가동률 및 수율 회복에 따른 향후 22년~23년 수익성 향상 기대
16. 주요 원자재 알루미늄인데 영업이익률 개선을 확인 = 가격전가 가능
( 그런데 22년 1분기때 워낙 급등한 분이 있어 원재료 재고자산 등 확인이 필요. 언제부터 상승된 매입분 투입이 되는지 등. 이거 Q. 주담통화 필요)
17. 세정/코팅부문 가동률이 100% 유지인데 생산능력과 실적이 늘어난다는건 수율 개선의 방증임
18. 그리고.. 대망의 '아이코닉'
→ 쿼츠 소재의 내구성 강화를 위해 만드어짐
→ 쿼츠 소재 포커스링은 300시간마다 교체 필요한데, 아이코닉은 4배 가량 내구성이 좋음
→ 현재 AMAT, TEL, SMES(삼성 장비 자회사) 대상으로 퀄테스트중. 1차 퀄테스트는 완료. 22년 하반기 양산 기대
19. 최근 ASML 고객사 등록 완료 (Q. 이거 어떤 부품을 납품하고 있는지 궁금했었는데 아래 화이트아웃님 IR 통화로 확인이 됨. 벤더사 등록은 됐으나 아직 납품하는 물품은 없음. 조만간 경영진 협의 예정)
20. 벨류 및 벨류체인
21. 화이트아웃님 IR통화 내용 (22.4.11)
- 아이코닉 개발 진행현황? 1차 퀄테스트 반응 좋은걸로 보임?
: 아직 고객사 퀄테스트 중. 중간결과 괜찮고 납품 까지는 시간 걸릴 것으로 예상
- 실제 매출로는 언제?
: 23년 정도에 가시적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 AMAT 식각향 부품. ASML은 식각장비 안하는데 어느쪽 부품?
: ASML 벤더 등록됐다고 바로 부품을 납품하는건 아님. 조만간 경영진 미팅 후 어떤 제품 납품될지 협의 예정. 아직 정확하게 정해진바 없음
- 남은 병기 지분은?
: 현재 병기 남은 지분 없음
- 작년 4Q 영업이익률 좋게나왔는데?
: 문기 대표 복귀 결과가 가시적으로 나온듯 (병기 돌려까긴가 ㅋㅋ) 인력이 부족한 부분이 있었는데 제조원가/판관비 아낄 수 있었음 (가동률 & 수율 관련해서는..?)
- 작년 실적 성장 큰 원인은 가동률/수율 안정화로 알고 있다. (가공쪽 얘기. 세정/코팅쪽은 가동률은 계속해서 100%였음) 급격하게 좋아진 이유는?
: 경영진 역량차이 인 것 같다 (병기 돌려까기 2 ㅋㅋ)
- 3자배정 유상증자 목적 코팅/세정 증설 목적. 진행사항?
: 조만간 공시 나올 에정. 증설하게 되면 세정/코팅 부문 CAPA 2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
(Q. 2배라고 못박앗네..! 근데 200억으로 2배가 되나? 그럼 나머지 200억으로는 또 X2배..??)
→ A, 현 CAPA 의 2배라고 보면된다.
(Q. 나머지 200억으로 추가 증설은?)
→ A. 나머지 금액은 원래 증설 목적으로 땡긴게 아닌 신소재 개발 및 원부자재 매입에 사용한다고 밝힘
- 정밀가공 쪽 (증설) 은?
: 고객사 협의 통해 진행할 예정 (개인적으로는 이것도 증설할 여지가 충분히 있지 않나 싶다. 아이원스 내러티비 아이디어는 미세화 공정 지속 증가이니)
- 정밀 가공 쪽 가동률이 높지 않은 이유는?
: 실제 양산품에 한해서는 가동률이 그렇게 낮게 나오진 않음. 여려제품에 대한 평균을 내다보니. 사업보고서에서 낮게 나오는 측면
- 사업보고서에 퀄리티 오버 퀀티티 정책?
: 말그대로 수량보다는 납품되는 제품의 질을 우선시 한다는 정책 (짝짝)
- 한솔테크닉스 인수 후 담당자 느끼시는 부분?
: 한솔 가족 2달 된 시점. 내부 상황과 전략 수립해나가는 단계. 내실 다지고 CAPA 확장해 나가는 기조
(최근 세정/코팅 증설 결정만 봐도 경영진의 추진력의나 의지를 볼 수 있는 대목이라고 생각함)
22. LePain 님 IR통화내용 (22.4.12)
최근 반도체장비 리드타임이 최장 30개월까지 늘어났다는 뉴스. 반도체 전체 장비 시장의 60% 점유율은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AMAT), ASML, TEL, 램리서치, KLA 5개 업체로 구성. 장비 주문량은 폭증상태
이에 따른 비포마켓 납품 포션이 많은 아이원스에 타격이 없는지 / 증설 / 원재료비에 대해 문의
- 최근 기사에서 리드타임 길어지는걸 확인. AMAT 거래비중 50% 넘는걸로 알고 있는데, 오더컷 같은 악영향은?
(Q. AMAT 거래비중 50% 확인필요)
: 영업팀 확인시 아직 그런 상황은 포착안됨. 신규 장비도 있지만 기존 장비 교체주기 부품 수요 있음. 리코팅 납품 아니라 워런티 기간에는 새로운 파츠 공급
- 22년 가동률 및 수율 가이던스?
: 가이던스 딱히 없음. 부품이 많기도 하고 그것마다 가동률이 다 다름. 사업보고서에 50% 중반대 가동률의 경우 AMAT 향 양산품에 대한 가동률. 양산품 경우는 동일한 제품을 한라인에서 동일하게 여러번 찍기 때문에 가동률 수치화가 쉬운데 그 외적인 국내 사업장 또는 양산 외적 AMAT 제품 경우 다품종 소량생산이기 때문에 가동률이 크게 의미가 없음
(Q. 저 합계 가동률이 가공 47.4% + 세정 100% = 55.8% 일텐데, AMAT 에 세정/코팅은 부문은 상관없는거 아닌가?)
- 원재료단에 (가공부문) 외주가공비 비중 50% 넘던데? 이건?
: 공정마다 자체 처리가 안되는 부분이 있는데 이번에 가장 많이 반영된건 디스플레이 쪽. 디스플레이 쪽은 거의 외주. 외주 비용 늘어날수록 디스플레이 쪽 매출 늘어나는거 확인 가능할 것. 디스플레이 이번년 매출 계속 나올 것이고 아무래도 외주 비용 계속해서 비례해서 나오지 않을까 싶다
(Q. 디스플레이 어디쪽인지 확인 필요. 모바일? TV? 자동차? 만약 TV라면 그게 또 LED 라면 OUT.. OLED 가 되어야할 것이다)
(Q. 응? 원재료단이라고 표현하는게 맞는건가?)
: 세정/코팅 쪽도 외주가공비가있고 내재화 하려고 진행중 다만 세정 같은 경우 우리가 하지않는 코팅 외적인 부분에 대해서 외주 중
- 21년 세정/코팅 매출 400억에 육박. 증설하게 되면 800억 정도 된다고 생각하면 될지?
: 올해 완공목표라 22년에는 반영 안될 것. 내부적 목표금액이 있으나 공표전이라 언급드리기가.. 100% 증설한다고해도 그 금액이 23년 온전하게 반영안되고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 증설은 현재 카파 정도 규모로 보면 될 것 같다. (센텀호랑이님 IR 자료보면 23년 3월 가동 예정. 세정코팅 매출캐파 100% 증가 예상. 현재의 2배)
(Q. 이거 멘트는 100%네. 80%도 있었고. 100%라고하면 현재 캐파 같은 키기니 총 캐파로 보면 현재에서 X2 라고 생각하면 되는거지? 정확하게 물어보자 노선이 엇가릴는듯)
A. 응 현캐파 X 2배임
+ 사업영억별 주요제품현황 (디스플레이 . Q. 이 LCD 는 모바일? TV? LCD,LED면 돈안되는거고 OLED 면 OK)
(Q. 디스플레이에서 장비 들어가는 부품 공급? 이거 LCD / OLED 매출 비중 어느 정도로 생각? 주력이 뭐예용?)
(Q. 디스플레이 모바일? TV쪽은? 모바일 주력인듯. 모바일은 삼성쪽?? 사업보고서보니 09년 삼성디스플레이 업체 선정있던데 LG디스플레이는 없는건가?)
→ 근데 4분기는.. 디스플레이가 캐리한걸 볼 수 있다.. 반도체 부문 오히려 최저 매출액
+ 디스플레이 LCD는 삼성향이 맞는 것 같다. 모바일
판 커지는 모바일 OLED 시장…LGD, '중소형 승부수' 통할까
LG디스플레이(대표 정호영)가 모바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 성장에 발맞춰 사업 확장을 본격화하고 있다. 관련 OLED 장비 전문 기업들과 수십억원 규모 공급계약을 잇따라...
www.ceoscoredaily.com
+ 3자 배정 유상증자로 9.89%(409억원) 지분 추가 확보. 여기서 3자 배정 유상증자 확보한 금액은 220억 세정-코팅 가공사업 확대 및 신소재 개발 189억 원부자재 매입에 사용. (애초에 공시를 세정-코팅가공에 이만큼 쓴다고했으니 400억을 다 안썼네? 라고 하는건 아구가 안맞는거네)
23. 자케님 IR통화 (22.4.15)
- (나머진 아는내용이고)
- 기존 정밀가공(부품) 설비 확충 관련 증설은 리스크가 있다고 보고. 공장임대와 같은 방향으로 진행 예정. 아직 결정된것 없다 (OK 이게 궁금했었음)
- 디스플레이쪽 외주가공. 디스플레이는 프레임등 부품 사이즈가 커서 가공설비상 대응이 불가. LGD 광저우 사업 영향으로 디스플레이 쪽이 늘었다. 올해도 디스플레이 쪽은 괜찮은 상황으로 보임
(Q.그래서 납품 밴더가 LGD, 삼성D? 여기서 LCD, OLED 어디쪽 비중이 메인인가? 회사소개자료봐도 OLED가 주력인듯? 그러면 맞는 방향이다)
24. 센텀호랑이님 분석글 22년 실적 추정치
- 23년 3월에 가동 예상. 현재 세정코팅 매출캐파의 2배
- But 부지 확보 이미된 상황이고 건물신축, 유틸리티설비, 기계장치 설치 6개월 소요예상. 23년 3월이라곤하지만 보수적 공시 낼 확률 크고, 올해안 공장증설후 내년에는 풀캐파 예상 (아이원스 대표이사 및 IR은 보수적임)
25. 수급상황
- 궁예를 발휘해보면 이 기관 담당자중 회사 정책 때문이라서 땅을 치고 걍 무지성으로 파는 인원들 분명이 있을거다 ㅋㅋ 누가 봐도 좋아보이거등
26. 차니파파님 IR 통화 (22.4.14)
- 재고자산 충당금 높은이유?
: 급하게 스펙 요청오는 제품 경우 생산비 문제로 여러개 만들어놓음. 폐기하기보다 재고로 쌓아놓는데 다시 요청 안할수도 있어서 수명다하면 폐기처분 진행. 이런걸로 평가충당금 쌓아놓는 이유
- 4분기 영익률 큰폭 상승. 제품별 마진차이?
: 특정 제품에서 잘나오는건 아님. 여러곳에서 이익개선 나왔고. 수율 상승 있었고, 재고자산/대손 환입 (10억) 이슈있었고, 세정부문 인원 모자란데 실적 잘나와서 급여 항목 이득도 있었음
- 매출원가에서 3분기 대비 4분기 직원 급여 줄어들었는데?
: 올해 인원 충원 예정. 급여지출 증가할 것. 올해 이익측면에서 원재료 상승으로 100% 가격전가 쉽지 않고. 적자 사업부 정리/인원 충원 때문에 작년과 같은 성과 내기 어려울 수 있따고 주총에서 이야기함. 여기서 말하는 성과가 작년 같은 이익 증가율 말하는걸수 있겠지만 내용상 작년정도의 영업이익이라고 생각..?
27. 잠실개미 JAKE 님 실적추정 (22.4.18)
- 벨류에이션 중 영익률이 각종 사유 (임금 등) 으로 인해 22~23% 에서 20% 떨어질 것임 (보수적으로) 그래서 감익이 예상
- 그럼에도 불구하고 벨류계산해보면 6.3~7.9배로 쌈. 그것도 무지..
'기업공부 > 아이원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원스 2Q22 실적발표 (0) | 2022.07.30 |
---|---|
아이원스 Conference Call (220707) (0) | 2022.07.10 |
아이원스 1Q22 실적발표 (주담통화, 분기보고서) (0) | 2022.05.22 |
아이원스 이렇게 기회를? (feat. 투자환기종목 지정) (0) | 2022.04.10 |